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2025 기준 중위소득 계산법 50% · 100% · 150% 총정리

by 복지알남 2025. 7. 29.

"2025 기준 중위소득 계산법"

✅기준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은 전국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배열했을 때 정확히 가운데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 정부는 이를 기준으로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같은 복지 지원 대상을 선정합니다.
즉,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 우리 가정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2025 기준 중위소득: 가구원 수별 금액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
1인 2,392,013원
2인 3,932,658원
3인 5,025,353원
4인 6,097,773원
5인 7,108,192원
6인 8,064,805원
7인 이상 8인 기준 + 약 923,623원씩 증가

 

👉 2024년 대비 평균 6~7% 정도 인상된 수치입니다.

"2025 기준 중위소득 가구원 수별 금액"

 

 

 

🔁중위소득 계산법: 50%, 100%, 150% 구하기

중위소득을 응용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 50% 수준 = 중위소득 × 0.5
  • 150% 수준 = 중위소득 × 1.5

예를 들어 4인 가구라면,

  • 50% 수준: 3,048,887원
  • 100% 수준: 6,097,773원
  • 150% 수준: 9,146,660원

같은 방식으로 2인 가구는

  • 50% = 1,966,329원
  • 100% = 3,932,658원
  • 150% = 5,898,987원 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계산법"

 

 

🧮종합 정리표

가구원 수 50% 수준 100% 수준 150% 수준
1인 1,196,007원 2,392,013원 3,588,020원
2인 1,966,329원 3,932,658원 5,898,987원
3인 2,512,677원 5,025,353원 7,538,030원
4인 3,048,887원 6,097,773원 9,146,660원
5인 3,554,096원 7,108,192원 10,662,288원
6인 4,032,403원 8,064,805원 12,097,208원

 

 

 

💡어디에 활용되나요?

  • 생계급여: 중위소득 30% 이하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 주거급여: 중위소득 47% 이하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 청년·서민 금융지원: 보통 중위소득 100~150% 이하 가구

따라서 우리 가정의 소득이 표와 비교했을 때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면, 받을 수 있는 복지 제도를 미리 알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목록 < 보도자료 < 알림 :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위 링크에서 본인 가구의 소득과 재산 기준을 입력하면,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약

  • 2025년 기준 중위소득(4인 가구)은 6,097,773원
  • 50% = 절반 금액, 150% = 1.5배 금액으로 계산
  • 중위소득 구간은 복지 지원 자격을 판정하는 핵심 기준
  • 자세한 신청은 복지로·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