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엑시노스(Exynos)는 단순한 모바일 AP(Application Processor)가 아닙니다. 국내 유일의 글로벌 반도체 종합 솔루션 브랜드로,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자동차까지 넘나드는 범용 플랫폼으로 성장해왔습니다. 오늘은 엑시노스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으며, 어디까지 발전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엑시노스, 왜 만들어졌을까?
삼성전자는 과거 퀄컴, 엔비디아, TI 등 외부 칩셋에 의존해 왔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자체 프로세서 개발을 결정했습니다. 이렇게 등장한 것이 바로 엑시노스입니다.
- 최초 모델: 2010년 등장한 Exynos 3 Single (Hummingbird)
- 목표: 모바일 기기용 고성능 SoC 자체 개발 → 갤럭시 전용화 + 해외 제조사 판매까지
초기에는 ARM 레퍼런스를 그대로 따랐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GPU 자체 개발, 통신 모뎀 통합, AI 처리 유닛(NPU)까지 넣으며 '종합 AP'로 발전해왔습니다.
2️⃣ 세대를 거듭한 진화 💡
엑시노스 시리즈는 숫자 체계에 따라 발전 단계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세대별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델 | CPU 구성 | GPU | 출시 시기 | 특징 |
Exynos 9810 | 4×Mongoose M3 + 4×Cortex-A55 | Mali-G72 | 2018 | 갤럭시 S9 탑재 |
Exynos 990 | M5 + Cortex-A76/A55 | Mali-G77 | 2020 | 발열 논란 |
Exynos 2100 | Cortex-X1/A78/A55 | Mali-G78 | 2021 | 자체 CPU 포기, ARM 완전 채택 |
Exynos 2200 | Cortex-X2 기반 | Xclipse 920 (AMD RDNA2) | 2022 | 하드웨어 레이 트레이싱 도입 |
Exynos 2400 | Cortex-X4 + A720 + A520 | Xclipse 940 | 2024 | AI, GPU 대폭 향상 |
Exynos 2500 | Cortex-X5 기반, 3nm | Xclipse 950 | 2025 | 위성 통신, 59TOPS NPU 성능 |
엑시노스 2400부터는 AMD와 협업한 RDNA GPU가 탑재되며, 그래픽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삼성의 3nm GAA 공정이 적용된 Exynos 2500은 발열 제어 및 전력 효율에서도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3️⃣ 그래픽, 이제는 게임도 가능해졌을까? 🎮
과거 엑시노스 칩은 GPU 성능과 게임 프레임 유지력에서 스냅드래곤에 밀린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RDNA2 기반 Xclipse GPU 시리즈가 탑재되면서 이야기가 달라졌습니다.
- Xclipse 920 (Exynos 2200): 최초의 레이 트레이싱 지원
- Xclipse 940 (Exynos 2400): 쉐이더 성능, 그림자 처리 개선
- Xclipse 950 (Exynos 2500): 콘솔급 그래픽, 고해상도 게임도 무리 없음
특히 엑시노스 2500은 Galaxy Z Flip 7에 탑재되며 고사양 게임에서도 안정적인 프레임과 배터리 효율을 보여줬습니다.
4️⃣ AI 퍼포먼스가 14.7배? NPU의 진화 🤖
엑시노스의 NPU(NPU, Neural Processing Unit)는 카메라 인식, 음성 명령, 자동 보정, 온디바이스 AI 처리 등을 담당합니다.
- Exynos 2100 NPU: 기초적인 AI 보정 기능
- Exynos 2400 NPU: 전세대 대비 약 14.7배 향상
- Exynos 2500 NPU: 59 TOPS 수준으로 초거대 AI 처리까지 가능
즉, 엑시노스는 단순 연산칩이 아닌 ‘스마트 컴퓨팅 플랫폼’으로 변화하고 있는 셈입니다.
5️⃣ 현재 상황과 과제는?
삼성은 엑시노스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부 모델은 스냅드래곤과 엑시노스를 병행 출시하거나, 아예 엑시노스 전용 모델로 분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다음과 같은 과제가 존재합니다:
- ❌ 발열 문제: 장시간 고성능 유지에 제약
- ❌ 생산 수율 문제: 3nm GAA 공정의 양산 안정성 확보 필요
- ❌ 시장 신뢰도 회복: 소비자 인식 개선 과제
삼성은 ARM CPU 설계를 도입하면서 자체 CPU 개발(Mongoose 프로젝트)을 종료했지만, 2026년을 목표로 차세대 CPU 코어를 자체 설계 중이라는 루머도 있습니다.
6️⃣ 엑시노스의 미래는?
삼성은 엑시노스를 단순 AP가 아니라 AI·통신·카메라·보안 등 모든 연산을 아우르는 통합 SoC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고자 합니다. 또한 차량용 반도체, IoT 디바이스, AR/VR 기기에도 엑시노스 브랜드를 확장 중입니다.
특히 향후 출시될 Exynos 2600은 2nm 공정을 적용하고, 삼성 자체 CPU가 다시 부활할 가능성도 있어 업계의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 엑시노스는 삼성의 자립형 AP 브랜드로, 3nm 공정과 AMD GPU 등 첨단 기술이 집약된 플랫폼입니다.
- 최근 모델들은 AI·게임·멀티태스킹에서도 준수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발열·시장 신뢰도 회복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 삼성은 향후 엑시노스를 AI 통합 칩으로 진화시켜 모바일뿐 아니라 자동차·웨어러블·산업용 컴퓨팅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
'전자기기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워치 울트라2 기능 사용법 - 애플워치 울트라3 출시 전 완벽 정리! (2) | 2025.07.18 |
---|---|
애플워치 10 색상 스펙 리뷰! (1) | 2025.07.18 |
갤럭시 s25 울트라 가격 스펙 기능 총정리 - 역대급 명작이라고? (2) | 2025.07.16 |
💼 2025 맥북 프로 M4 추천 완벽 리뷰 – 14인치 vs 16인치, 어떤 선택이 진짜 프로인가? (0) | 2025.07.15 |
💻 2025 맥북 에어 M4 리뷰 완벽 비교 - 13인치 15인치 얼마일까? (0) | 2025.07.15 |